프로그램 배포
가. Script to EXE Converter (Ahk2Exe)
스크립트파일(.ahk)을 실행파일(.exe)로 변환해서 배포하는 방법입니다. 앞에서 알려드린 스크립트 편집기에서 수행한 Compile 명령이 이 도구를 이용해서 변환이 이루어집니다. 이 도구를 직접실행해서 변환 할 시 고급 옵션을 이용해서 변환을 할 수 있습니다.
■ 오토핫키가 설치 된 폴더에서 "Convert .ahk to .exe"를 실행합니다.
■ 오토핫키가 설치 된 폴더에서 "Convert .ahk to .exe"를 실행합니다.
(1) Source (script file)
- .exe로 변환할 .ahk 스크립트 파일을 지정합니다. 오른쪽의 [Browse]버튼을 클릭하여 파일을 지정 할 수 있습니다.
(2) Destination (.exe file)
- 변환된 .exe파일을 어디에 저장할 것인지 지정합니다. 오른쪽의 [Browse]버튼을 클릭해서 파일경로와 파일명을 지정 할 수 있습니다.
(3) Custom Icon (.ico file)
- .exe파일의 아이콘을 지정합니다. 비워 놓으면 기본 오토핫키 아이콘이 들어갑니다. 오른쪽의 [Browse]버튼을 클릭해서 아이콘 파일을 지정 할 수 있습니다.
(4) Base File (.bin)
- 운영체제별 실행 비트 수를 지정합니다. 보통 Unicode 32bit로 하면 왠만한 윈도우 운영체제에서는 돌아갑니다.
- MPRESS 옵션에 체크를 하시면 .exe를 한번 더 압축해서 생성합니다. 파일의 용량을 줄일 수 있습니다.
■ 덧셈계산기.ahk 파일을 이용하여 변환을 합니다.
예제 스크립트 다운로드 링크 : 덧셈계산기.ahk
■ 생성 된 exe파일을 실행합니다.
■ 프로그램이 정상적으로 실행되는지 확인합니다.
나. 리소스 파일들 관리 및 배포
스크립트 작성 시 ini, wav, bmp 파일 등을 활용하였다면 배포시에는 실행 파일과 관련 리소스 파일들을 항상 같이 배포를 해야 합니다. 이 중에 하나라도 빠트리게 되면 프로그램 실행 시 관련 기능 실행이 불가합니다. 리소스 파일들은 손쉽게 관리하기 위해, 폴더구조를 아래와 같이 관리하도록 합니다.
위 그림처럼 관리하면 폴더명만 보더라도 쉽게 유형 구별이 가능합니다. 이제 폴더의 .ahk 파일만 제외하고 zip으로 압축하여 전달자에게 배포해주면 배포가 완료 됩니다. 배포 후에는 프로그램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.